과학 이야기 31

지문해설 | 16학년도 고3 9평 A형 "지방질의 산패" 과학지문 Q19-21

2016학년도 고3 9평 국어 A형 속 지방질, 불포화 지방산, 지방질의 산패, 산화 방지제를 설명합니다. 잘 와닿지 않아 어려웠던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해 보세요 :) 목차2016학년도(2015년 시행) 고3 9평 국어A형 Q19-21 지방질의 산패 지방질이 장시간 공기에 노출되면 산화 과정을 거쳐 비정상적인 맛과 냄새가 나는 산패가 발생함특히, 한 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된 지방질에서 탄소가 산화하며 산패가 발생할 수 있음 구체적인 지방질의 산패 과정은 다음과 같음:지방질 내 탄소 → 알릴 라디칼로 변화알릴 라디칼 + 산소 → 퍼옥시 라디칼퍼옥시 라디칼 + 다른 지방질 내 탄소 → 하이드로퍼옥사이드 + 새로운 알릴 라디칼 생성새로 생성된 알릴 라디칼 → 연쇄 반응(2번부터의..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아 추출물의 차이: 스테비아 화학구조, 0칼로리 원인 대사과정

3분 과학기술 용어 4편, [효소처리스테비아]와 [스테비아추출물]입니다.🧂여기저기, 온통이 스테비아 제로슈가 음식이야단마토(스테비아 토마토)부터 다이어트 과일잼, 사탕과 젤리, 커피믹스, 탄산음료까지 정말 다양한 식품에 스테비아 성분이 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반 설탕보다 약 200~400배가 더 달다고 알려진 스테비아 대체당은 놀랍게도 0칼로리인데요, 식물에서 나온 성분으로 안전성 또한 유엔과 세계보건기구의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미국 FDA 등에 의해 인정받고 있습니다. ▷ 스테비아 토마토가 도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여기 클릭스테비아의 화학구조스테비아 식물에서 추출되어 우리가 먹는 음식에 투입되는 '스테비아'는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s, SGs)입니다. ..

고데기 vs 에어랩? 과학으로 풀어보는 헤어 스타일링의 마법

[에어랩의 과학] 우리는 어떻게 고데기를 통해 머리를 스타일링할 수 있는 것일까요? 그리고 최근 주목받는 에어랩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을까요? 머리카락을 지탱하는 화학 결합을 변형시키는 헤어 스타일링에는 어떤 과학과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평소 궁금하거나 관심 있던 일상 속 현상을 공부하고,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 1. 머리카락을 지탱하는 화학 결합머리카락의 주요 성분은 케라틴(keratin)이라는 단백질입니다. 케라틴은 우리 몸의 피부나 손톱에도 들어있는 단백질로, 특히 머리카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물의 'hair..

작업증명(PoW): 더이상 채굴을 안 하는 이유, 일반사용자-풀노드-채굴자의 차이

3분 과학기술 용어 3편, [블록체인 작업증명]입니다.🤯내가 코인을 샀다고 해서 '참여자(노드)'가 아니라고?우리가 업비트, 빗썸과 같은 코인거래소에서 현금으로 코인을 사고, '지갑'에 보관한다고 해서 구매한 코인의 블록체인에 참여하게 되지 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코인을 구매하고 전송하는 사람은 노드가 아닙니다.  흔히 블록체인은 "모두"가 블록의 생성이나 검증에 참여하여 높은 투명성과 안정성을 갖는 기술이라고 하지만,이 모두에는 코인 투자만 하는 '머글' 일반인들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얘깁니다.  그렇습니다. 코인을 포함한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누가 무엇을 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역할이 존재하고, 노드는 그중 한 가지 역할일 뿐입니다. ⛏️코인 채굴을 한다는 얘기가 들리지 않는 이유?2010년..

노드에 따른 블록체인 유형: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컨소시엄

3분 과학기술 용어 2편, [블록체인 노드]입니다. ⭐블록체인의 주요 혁신 지난 게시글에서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해주는 기술이라는 것과 기본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혁신은 다양한 표현으로 특징되지만, 대표적으로 다음이 있습니다:탈중앙화: P2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은 데이터 위·변조, 그리고 중앙 서버 장애로 인해 시스템 전체가 중단되는 '단일 실패 지점(SPOF)'의 위험성을 낮춤분산원장: 네트워크 속 모든 사람이 동일한 블록체인의 사본을 갖고 있어 데이터의 투명성을 보장함무결성: 각 블록은 이전 블록과 암호화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블록체인에 한번 저장된 데이터는 수정이나 삭제가 어려움합의 메커니즘: 모든 참여자가 새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

지문해설 | 2020학년도 고3 수능 "장기 이식과 레트로바이러스" 과학지문 Q26~29

2020학년도 고3 수능 속 장기 이식, 동종 이식, 이종 이식, 면역적 거부 반응, 레트로바이러스,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를 설명합니다. 잘 와닿지 않아 어려웠던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해 보세요 :) 목차2020학년도(2019년 시행) 고3 수능 Q26~29 장기 이식과 레트로바이러스 손상된 신체의 장기를 대체하기 위해 실시하는 장기 이식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이상적인 이식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¹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의 이식편을 이용 ² 동종 이식: 다른 사람의 이식편을 이용면역적 거부 반응이 일어남, 많은 비용이 소요됨, 이식 가능한 동종 이식편의 수가 매우 부족함³ 전자 기기 인공 장기를 이용장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체함, 추가 전력 공급 및 정기적 부품 교체가 요구됨,..

블록체인의 기초: 해시, 작업증명 PoW, 분산원장, 높은 안정성을 위한 3가지 기술

3분 과학기술 용어 1편, [블록체인]입니다. ⭐블록체인을 알아야 하는 이유, 그 중요성「UN 미래보고서 2050」에서 10대 유망기술로 블록체인을 주목하였고,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2027년 세계 GDP(1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총 시장가치)의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블록체인은 어떤 기술이길래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 블록체인의 다양한 용도가상화폐(디지털 화폐): (예)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거래에 사용의류 제품의 정품 인증: (예) 나이키 CryptoKicks는 구매한 한정판 신발을 NFT(디지털정품인증서) 형태의 블록체인에 등록해 정품/가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 디지털 증명서 발급: 블록체인을 이용해 졸업장,..

지문해설 | 2017학년도 고3 수능 "반추동물의 탄수화물 분해" 과학지문 Q33~36

2017학년도 고3 수능 속 반추동물의 탄수화물 분해 과정, 반추동물의 에너지원 생성 과정을 설명합니다. 잘 와닿지 않아 어려웠던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해 보세요 :) 목차2017학년도(2016년 시행) 고3 수능 Q33~36 반추동물의 탄수화물 분해 반추 동물은 한번 삼킨 먹이를 다시 게워 내어 씹으며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입니다. 반추 동물은 반추위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섬유소와 비섬유소를 모두 에너지원으로 이용합니다.▲ 피브로박터 숙시노젠(F)은 셀룰로스(섬유소)를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이를 F의 대사 과정을 거쳐 반추 동물과 체내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이용합니다.▲ 스트렙토코쿠스 보비스(S)는 녹말(비섬유소)을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이를 S의 대사 과정을 거쳐 반추 동물과 체내 미생물의 에너지..

전분 호화·노화 원리: 과학으로 설명하는 저항전분, 떡과 당면의 쫀득한 식감

[전분의 과학] 떡볶이의 떡, 순대의 당면, 마라탕의 분모자, 버블티의 타피오카펄까지 모두 쫀득한 식감으로 하루동안 쌓인 우리의 스트레스와 피로를 달래줍니다. 이 모든 음식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전분이 들어 있다는 거죠. 전분, 도대체 뭔데 이토록 치명적인 식감을 뽐내는 걸까요?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 1. 전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전분이라 했을 때 우리는 흔히 '전분'이란 명칭으로 사용되는 옥수수,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카사바) 전분을 떠오르지만, 사실 전분은 밀가루와 쌀에도 들어 있습니다...

지문해설 | 2019학년도 고3 9평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과학지문 Q29~32

2019학년도 고3 9평 속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단분자층 형성 시간, 스퍼터 이온 펌프를 설명합니다. 잘 와닿지 않아 어려웠던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해 보세요 :) 목차2019학년도(2018년 시행) 고3 9월 평가원 모의고사 Q29~32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은 시료의 표면을 원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용이한 시료 표면의 관찰을 위해서는 기체 분자들을 진공 통에서 뽑아내어 기체 압력을 낮추는 것이 필요합니다.시료의 관찰 가능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단분자층 형성 시간이 긴 초고진공이 요구됩니다.이를 위해 스퍼터 이온 펌프가 쓰이는데, ▲진공 통 내부의 기체 분자들을 분리시켜 음극에 박히게 하는 1차 펌프 작용과 ▲음극에서 떨어져 나온 타이타늄이 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