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야기/실생활 속 과학 13

고데기 vs 에어랩? 과학으로 풀어보는 헤어 스타일링의 마법

[에어랩의 과학] 우리는 어떻게 고데기를 통해 머리를 스타일링할 수 있는 것일까요? 그리고 최근 주목받는 에어랩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을까요? 머리카락을 지탱하는 화학 결합을 변형시키는 헤어 스타일링에는 어떤 과학과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평소 궁금하거나 관심 있던 일상 속 현상을 공부하고,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 1. 머리카락을 지탱하는 화학 결합머리카락의 주요 성분은 케라틴(keratin)이라는 단백질입니다. 케라틴은 우리 몸의 피부나 손톱에도 들어있는 단백질로, 특히 머리카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물의 'hair..

전분 호화·노화 원리: 과학으로 설명하는 저항전분, 떡과 당면의 쫀득한 식감

[전분의 과학] 떡볶이의 떡, 순대의 당면, 마라탕의 분모자, 버블티의 타피오카펄까지 모두 쫀득한 식감으로 하루동안 쌓인 우리의 스트레스와 피로를 달래줍니다. 이 모든 음식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전분이 들어 있다는 거죠. 전분, 도대체 뭔데 이토록 치명적인 식감을 뽐내는 걸까요?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 1. 전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전분이라 했을 때 우리는 흔히 '전분'이란 명칭으로 사용되는 옥수수,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카사바) 전분을 떠오르지만, 사실 전분은 밀가루와 쌀에도 들어 있습니다...

패스트패션, 폐의류와 섬유생산은 어떻게 환경을 오염하는가

[패스트패션의 과학] 사고 또 사고, 차곡차곡 쌓여만 가는 옷들. 이 옷은 도대체 언제 샀고, 저 옷은 마지막으로 입은 게 언제더라?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유행에 휩쓸려 홀린 듯 사버린 수많은 옷들이 공기와 수질을 오염하고 돌고 돌아 미세플라스틱과 미세먼지로 내 몸속에 쌓인다는 게 믿기시나요?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 1. 패스트패션, 왜 문제인가?지난 몇 년간, 의류 산업에서 거의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가 패스트패션(fast fashion)입니다. 패스트패션은 의류 생산과정을 대폭 단축하여 SS/FW시즌이 ..

보조배터리 폭발 위험? 리튬 이온 전지의 구조와 원리로 답하다

[보조배터리의 과학] 스마트폰 배터리가 부족할 때 필수템인 보조배터리, 올바르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보조배터리 속 과학 원리부터 구매 시 꼭 확인해야 할 스펙,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평소 궁금하거나 관심 있던 일상 속 현상을 공부하고,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1. 보조배터리: 충전가능한 리튬이온 전지지금 여러분의 주변에는 얼마나 많은 배터리가 있을까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노트북, 무선 마우스와 키보드, 각종 리모컨, 무선·로봇 청소기, 전동 면도기, 카페 진동벨 등 — 당장 10개 이상 찾는 건 어..

스테비아 토마토는 가공식품? 대체당이 달지만 살 안 찌는 원인

[스테비아 토마토의 과학] 스테비아 토마토 좋아하시나요? 일명 ‘단마토’ 또는 망고처럼 달아서 ‘토망고’는 2019-20년쯤 스타일리스트 한혜연, 가수 홍진영의 언니 홍선영 씨와 같은 유명인들이 다이어트 비결이라 밝히면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잠시. 지나가는 유행 식품일 줄 알았던 스테비아 토마토가 지금은 마트의 스테디셀러가 되었는데, 탄탄한 지지층을 얻은 스테비아 토마토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1. 스테비아 토마토, 새 품종이 아니다잠시만, 스테비아 토..

필터와 정전기, 공기정화 원리와 미세먼지 저감 기술의 기초

[공기정화의 과학] 우린 집에서는 공기청정기를 틀고, 밖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그런데 그냥 바깥에도 '거대한 공기청정기'를 둬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없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와 전기집진 방식을 알아보고, 각각 마스크와 실외 공기정화 장치에 어떻게 접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목차1. 실내 공기정화: 공기청정기공기 안 좋은 날에는 환기를 시키는 게 나을까, 아니면 갑갑해도 창문을 열지 않는 게 나을까? 집에서 발생하는 생활먼지도 있을 텐데, 바깥에 미세먼지가 기승이라면 고민이..

화재도 버티는 스탠리 텀블러의 과학 비밀, 그리고 최초의 보온병

스탠리 텀블러에는 어떤 과학기술이 있길래 이렇게 인기 있을까? 지난 2022년 숏폼(짧은 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TikTok)에서 전소된 차 안에서도 얼음물을 지킨 텀블러 영상이 바이럴을 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중금속벽 보온병의 최초인 스탠리가 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은 이야기를 풀어드리겠습니다.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목차1. 열의 기본 개념음식의 맛은 온도와 비례합니다. 추운 날 따뜻하게 마시며 몸을 녹이는 오뎅국물, 더운 날 시원하게 베어 먹어야 기운이 생기는 아이스크림처럼 말이에요. 그래서 음식의 온도를 맛..

빵 속 글루텐 단백질, 면역학으로 보는 글루텐프리와 살 찌는 이유

[제빵의 과학] 뉴욕의 베이글부터 파리의 크루아상까지, 서구권 대도시는 저마다 그곳의 문화와 생활방식이 깃든 상징적인 빵을 갖고 있는데요. 베이글이 쫄깃하고, 크루아상이 바삭한 비밀 - 그 속엔 밀가루의 단백질인 글루텐이 있단 걸 알고 계셨나요? 글루텐이 빵에 주는 영향부터, 지금 유행하는 '글루텐 프리'에 대한 진실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목차1. 글루텐의 정의글루텐(gluten)은 밀, 보리, 호밀 등의 곡물¹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백질로, 음식을 단단하게 결합시켜 형태를 줍니다. 글루텐을 ..

미친 발광력의 아이돌 응원봉, LED 발광원리는 반도체?!

[아이돌 응원봉의 과학] 콘서트나 공연장에서 관객과 아티스트를 연결하는 아이돌 응원봉. 화려한 발광력을 자랑하는 아이돌 응원봉에는 어떤 과학·기술이 적용되어 있을까요? 평소 궁금하거나 관심 있던 일상 속 현상을 공부하고,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 목차 1. 빛의 생성: 어둠 속에서 피어나는 빛일상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빛'이라는 단어, 과학적으로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빛(light)좁은 의미로는 인간이 시신경을 통해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를 일컫는 경우도 있지만, 물리학에서는 주로 가시광선 외에도 X선, 자외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

미세먼지의 생성원인과 화학식, 그냥 작은 먼지가 아닙니다!

[미세먼지의 과학]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뭔지 설명 없이 다짜고짜 위험하다고 해서 답답하다면 여깁니다.초미세먼지의 2차 생성 메커니즘(화학식)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일상생활 속 주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에 맞춰 과학탐구/과학실험 주제를 만들어 심화학습, 생기부 세특, 수행평가, 동아리, 진로활동, IB 물리·화학·생물 IA나 EE 등에 활용해 보세요 :)목차  1. 미세먼지란?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는 단순히 크기가 매우 작은 먼지가 아니라, 여러 화학적 유해물질이 혼합된 에어로졸(aerosol)입니다. 자연적인 발생보다 인위적인 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난방, 가정의 주방, 자동차 연료, 사업장(공장), 발전소 연소 등에서 나오는 분진으로 이뤄져 있습..